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의료기기법-화장품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윤종열 기자 | 기사입력 2025/01/01 [17:48]

‘의료기기법’ 개정, 인체이식 의료기기 정보 종합 분석‧평가…부작용 신속 대응
‘화장품법’ 개정, 천연‧유기농화장품 인증 민간 자율로 전환…업계 부담 감소 기대

“의료기기법-화장품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의료기기법’ 개정, 인체이식 의료기기 정보 종합 분석‧평가…부작용 신속 대응
‘화장품법’ 개정, 천연‧유기농화장품 인증 민간 자율로 전환…업계 부담 감소 기대

윤종열 기자 | 입력 : 2025/01/01 [17:48]

‘의료기기법’과 ‘화장품법’ 개정안이 12월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변화하는 사회환경을 반영해 법령을 합리적으로 정비하는 등 국민의 건강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 의료제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의료기기법’ 개정으로 인공유방과 같이 부작용 발생 우려가 큰 인체 이식 의료기기의 경우 초기 시술정보, 환자정보, 이식 후 부작용 등 정보를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해 종합 분석‧평가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앞으로 인체 이식 의료기기에 대한 이상사례 등을 조기에 확인하여 대규모 부작용이 발생하기 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미국, 영국 등 선진 해외 규제기관에서도 이와 유사한 관리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아울러 ‘화장품법’ 개정으로 기존에 정부가 주도하던 천연화장품과 유기농화장품의 인증을 민간 인증체계로 전환하고 자율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정부 인증제 운영으로 인해 수출 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민간 인증을 이중으로 받아야 했던 업계의 부담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민간 인증이 잘 정착될 수 있도록 부당한 표시‧광고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코스모스인증(COSMetic Organic and Natural Standard)은 주로 유럽 소재의 기관을 중심으로 구성된 천연 및 유기농화장품 인증으로 유럽 외에도 호주, 터키, 한국 등 12개 인증기관이 인증 중(60개 국가의 21,000개 이상 제품 인증)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