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 코리아, Best of ASCO 런천 심포지엄, 비트락비 최신 지견 발표 ASCO 연례회의에서 발표된 NTRK 유전자 융합암 관련 주요 연구결과 및 국내 환자사례 공유 융합 고형암 치료제 비트락비, CNS 전이 폐암 환자 분석연구 80% 반응률 확인
|
![]() |
19일 진행된 런천 심포지엄에서는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범석 교수가 발표를 맡아 'NTRK 유전자 융합 고형암에서 라로트렉티닙의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을 주제로 △NTRK유전자 융합 종양 및 라로트렉티닙 작용기전, △허가 기반이 된 3건의 임상연구 및 최근 업데이트된 연장 연구결과, △CNS 전이 TRK 융합 고형암에서 라로트렉티닙 임상시험 연구결과, △실제 환자 케이스 등을 기반으로 라로트렉티닙의 임상적 의의를 설명했다.
강연에서 김범석 교수는 먼저 NTRK 유전자 융합암의 특성을 시작으로 이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트렌드에 대해 설명했다. “검사방법에는 FISH, PCR, IHC 등이 있고 각 검사마다 장단점이 있지만, 그 중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은 NTRK 외에도 새로운 융합 파트너에 관계없이 모두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가장 크다. 한국에서는 절반 정도의 비용을 의료 보험에서 부담해 주기에 환자의 부담을 덜 수 있다.”라며 “높은 감도와 특이성의 잠재력으로 모든 유전자 융합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앞으로 NGS 검사방법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어 김 교수는 라로트렉티닙의 허가 기반이 된 3개의 임상 연구인 LOXO TRK 14001, SCOUT, NAVIGATE를 통합 분석한 기존 데이터셋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해당 연구에서 객관적 반응률(ORR)은 80%, 완전 관해(CR) 16%로, 라로트렉티닙을 사용한 환자에서 대부분 좋은 효과를 확인했다.
2020년 업데이트 발표된 확장된 통합 데이터셋 연구에서도, 객관적 반응률(ORR) 79%, 무진행 생존 기간 중앙값(mPFS) 약 28개월,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 약 44개월로 유전자 융합이 발견된 경우라면 모든 암종에 걸쳐 연령과 관계없이 라로트렉티닙의 일관된 우수한 유효성을 보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3년 ASCO에서 발표된 TRK 융합 암 성인 환자 대상 194명을 대상으로 한 라로트렉티닙의 장기 효능 및 안전성을 입증한 데이터를 소개했다. 해당 연구에서 객관적 반응률은 57%로 암종에 관계없이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전체 환자의 치료 반응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TTR) 중앙값은 1.8개월로 신속한 반응을 확인했다.
추적 기간 중앙값 32.3개월 시점에서 반응 지속기간(DoR) 중앙값은 43.3개월(95% CI 29.2-not estimable [NE]), 추적 기간 중앙값 28.5개월 시점에서 무진행 생존 기간(PFS) 중앙값은 24.6개월(95% CI 11.3, 35.5), 추적 기간 33.8개월 시점에서 전체생존 기간(OS) 중앙값은 48.7개월(95% CI 38.5, NE)로 나타났다. 치료 관련 이상 반응은 대부분 1, 2등급이었으며, Grade 3, 4등급의 치료 관련 부작용 중 가장 흔한 것은 간 수치 ALT 증가(4%)와 AST 증가(4%)였다.
또한, 발표에서 “라로트렉티닙은 중추신경계(CNS)를 잘 통과하는TRK 억제제로 뇌전이가 된 폐암이나 뇌종양과 같은 암종에서 좋은 유효성을 보인다”라고 언급하며, 중추신경계 전이를 가진 NTRK유전자 융합 폐암 성인 환자 연구에 대해 소개했다. 연구에 따르면 CNS 전이를 가진 10명의 평가 가능한 환자에서 80%(95% CI 44, 97)의 높은 반응률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발표 마지막에 실제 임상현장에서 라로트렉티닙을 사용한 증례를 발표하며 그 중 기존 항암제 치료 이후 폐와 뼈에 전이가 있어 예후가 좋지 않았던 86세 남성 침샘암 환자 치료 경험을 공유했다. “해당 환자는 NGS 검사를 통해 ETV6-NTRK3 융합 유전자가 있는 것을 발견했고, 이후 라로트렉티닙 치료를 통해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라로트렉티닙의 임상연구 결과들이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강경남 기자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