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활용, 코로나19-독감 동시감염 시 세포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양 10배 증가 확인
국립보건연구원, 코로나19-독감 동시감염 과정 규명
염증반응 및 장기 손상 증가, 중증화율 및 치명율도 증가
식약일보 | 입력 : 2023/05/26 [09:30]
국립보건원이 줄기세포로부터 만든 3D 인간 폐조직(오가노이드)을 이용해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에 걸릴 경우 폐 손상이 심해지는 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직무대리 장희창)은 이번 연구결과는 감염병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 「신종 미생물과 감염(Emerging Microbes & Infections, 피인용지수 19.6)」에 5월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에 걸린 환자는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더 높으나, 그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생체모델이 제한적이라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그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국립보건연구원 김정현 보건연구관과 최장훈 보건연구관은 줄기세포로부터 3D 인간 폐조직을 만들었다.
↑독감 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된 3D 인간 폐조직 모양
3D 인간 폐조직을 이용해,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에 걸리는 경우 바이러스가 폐조직에 들어가기위해 필요한 수용체를 상호 증가시켜 세포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코로나19 바이러스) 양이 10배가량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염증반응과 장기 손상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주어,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높아지는 기전을 규명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앞으로도 다양한 인간 조직 모델을 활용한 신종 감염병 및 만성질환 기초연구를 위해 기관 내·외부 연구자간의 적극적인 협력 연구를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강경남 기자
<저작권자 ⓒ 식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