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추위 노출된 만감류, 과육 껍질 얼고 쓴맛 두드러져

강경남 기자 | 기사입력 2024/12/10 [23:37]

시설재배 감귤, 기습 추위 주의 “측창 조절하세요”
영하 1도(℃) 이상 유지, 눈 동반한 추위 때는 측창 일시 폐쇄

추위 노출된 만감류, 과육 껍질 얼고 쓴맛 두드러져


시설재배 감귤, 기습 추위 주의 “측창 조절하세요”
영하 1도(℃) 이상 유지, 눈 동반한 추위 때는 측창 일시 폐쇄

강경남 기자 | 입력 : 2024/12/10 [23:37]

수확 시기가 1~3월 사이인 만감류는 무엇보다 저온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만감류는 감귤(만다린)과 오렌지를 교잡한 귤, ‘부지화(한라봉)’, ‘세토카(천혜향)’, ‘감평(레드향)’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이상 한파로 인한 저온 피해가 농가 소득 감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시설 내부 보온과 환기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진청 기존 연구 결과, 영하 3도(℃) 이하에 노출된 만감류는 과육과 껍질이 얼어 비타민 시(C) 함량이 약 40% 감소하고 속껍질이 젖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세토카(천혜향)’는 폴리페놀 함량이 늘어 쓴맛이 더 두드러졌다.

 

        ↑언 피해를 본 부지화(한라봉)

 

만감류 생육을 유지하고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시설 내 온도를 최소 영하 1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등 내부 보온과 환기에 신경 써야 한다.

 

눈을 동반한 한파에는 일시적으로 측창을 닫아 온도를 유지한다. 측창을 닫으면 시설 내부 온도가 바깥 기온보다 약 4도(℃) 높게 유지되므로 난방하는 온실(최저 2℃ 유지)과 비슷한 수준의 열매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대기 온도는 보통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데, 맑은 날 지면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 상층 공기 온도보다 낮아지기도 함. 이때 시설(비닐하우스) 측창을 닫으면 냉기류가 침체해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 일부 농가는 이를 우려해 측창을 열어두려는 경우가 많음. 하지만 찬 바람 부는 날 측창을 계속 열어두면 내부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창가 쪽 감귤부터 언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눈은 내리지 않고 찬 공기만 머무를 때는 찬 바람이 불어오는 쪽 측창은 닫고 반대쪽을 열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해야 한다. 공기 팬을 활용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되 습도가 80% 이상 오르면 환기와 더불어 곰팡이병 예방 약제를 뿌려준다.

 

온도 관리를 위해서는 다겹 보온 커튼과 난방기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온실 틈새 균열은 즉시 보수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센터 안현주 센터장은 “최근 3년간 12월 말과 1월 말 무렵에 급격한 기온 저하 또는 폭설을 동반한 이상 한파가 발생하고 있다.”라며, “저온 피해로 인한 만감류의 품질 저하와 농가 소득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