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밀, 적기 파종해야 월동 전 적정 잎 수 확보 가을배추·무, 부직포나 비닐 등으로 덮어줘야 가을철 급격한 기온 저하 대비 “농작물 관리는?”
|
↑배추 부직포 피복(좌), 무 부직포 덮은 모습, 언 피해 받은 무 절단면(오른쪽)
넷째, 만생종 사과는 어는점은 영하 1.0~2.5도 정도이다. 이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는 피해 정도가 크지 않지만, 영하 7도 이하로 내려가면 단 몇 시간만 노출돼도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익는 시기가 10월 하순부터 11월 상순인 사과 ‘후지’ 품종은 색이 들 때(착색)를 기다리느라 수확 시기를 지나치게 늦추면 갑자기 기온이 떨어졌을 때 과실이 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올해는 내부 성숙은 빠르지만, 착색 발현이 늦어지고 있다. 따라서 수확을 너무 늦추지 말고 기상 정보를 주의 깊게 확인한 후 적절한 시기에 수확을 끝내야 한다.
다섯째, 단감은 가을철 과실 성숙기 전후에 서리가 내리거나 최저 한계온도(영하 2.1도) 이하가 되면 어는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과수원 내부 온도를 높이는 연소법을 활용하거나 방상팬을 가동해 찬 공기가 과수원 내 장시간 머물러 있지 않도록 조치한다.
여섯째, 비닐하우스, 온실 등 농업시설은 밤 동안 10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천창과 측창(곁창)을 잘 닫고, 낮에는 환기해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한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기상과 작물별 주산지 생육 상황을 실시간 확인(모니터링)해 ‘기상 대응 문자 알림서비스’에 가입된 농업경영체(182만 명)에 농작물 관리 정보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다.
또한, ‘농업 기상재해 조기 경보서비스’ 누리집에서는 필지 단위로 개별 농장의 기상 정보, 재해 예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회원으로 가입하면 문자나 알림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중앙 현장 기술지원단 5개 반(식량작물, 과수, 채소, 특용작물, 축산 등) 120명이 주산지 생육 점검과 기술 지도를 통해 안정적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