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직성 척추염 및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 분석 위험 인자로 TNF-알파 억제제 사용,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받은 환자 등 지목 TNF-알파억제제, 만성 염증성 관절염 환자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
|
←좌측부터 차례로 안성수 교수, 김형우 교수, 한민경 교수
하지만 이러한 면역억제제 치료를 지속할 경우 정상적 면역 계통의 이상으로 인해 패혈성 관절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패혈성 관절염은 만성 염증성 질환의 악화로 인해 나타나는 관절의 붓기 및 통증과 구별이 어렵고,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강직성 척추염 및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TNF-알파 억제제 치료 후 패혈성 관절염의 발생위험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가운데 강직성 척추염 및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된 145,129명의 데이터를 선별했다. 이후 기존에 해당 질환을 보유한 환자를 제외한 뒤 추적 관찰 기간 패혈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대상자의 비율을 확인하고 위험 인자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전체 환자 중 0.8%에 해당하는 1,170명에게 패혈성 관절염이 발생했다. 특히, 두 질환 중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에서만 TNF-알파 억제제 사용에 따라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 발견됐다.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을 높이는 위험 인자로는 TNF-알파 억제제의 사용, 나이, 고혈압·당뇨·만성 폐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확인됐으며,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나이와 신장 질환의 기왕력만이 패혈성 관절염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질환 모두 TNF-알파 억제제 사용 1년 이내에 패혈성 관절염의 위험성이 가장 높았다.
↑강직성 척추염과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전체 환자군을 살핀 결과, 고령, 남성,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고혈압·당뇨·만성 폐질환 등 기저질환, TNF-알파 억제제 사용이 패혈성 관절염의 위험 인자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나이, 기저질환, 약물 치료 시작 후 경과 시간 등에 따라 TNF-알파 억제제의 사용이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 추후 해당 약물 사용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위험 요인에 대한 면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안성수 교수는 “만성 염증성 관절염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TNF-알파 억제제와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 사이 연관성이 밝혀짐에 따라 앞으로 환자의 진료와 모니터링 계획 수립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류마톨로지(Rheumatology, IF 5.5)’에 최근 게재됐다. 강경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