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 항생제 자주 사용 염증성 장(腸) 질환 위험 24% 증가


생후 1년 이내의 항생제 노출은 아이의 염증성 장 질환 위험 1.5배
염증성 장 질환은 원인 불명의 만성 질환

식약일보 | 입력 : 2023/05/19 [23:09]

광범위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면 염증성 장(腸) 질환 발생 위험이 24%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생후 1년 이내의 항생제 노출은 아이의 염증성 장 질환 위험을 1.5배 높였다.

 

1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대한소화기학회 빅 데이터 연구그룹이 2004∼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원자료를 이용해 염증성 장 질환 신규 환자 6만8,633명과 건강한 사람 34만3,165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A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risk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fter exposure to broad-spectrum antibiotics: A national population study in Korea)는 ‘소화기 약리학 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염증성 장 질환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원인 불명의 만성 질환이다. 보통 복통ㆍ설사ㆍ혈변ㆍ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수개월 간 나타난다. 일반적인 장질환으로 오인하는 사람이 많지만,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엄연히 다르며 희귀질환으로 분류된다.

 

이번 연구에서 염증성 장 질환 진단을 받은 환자의 평균 나이는 45.2세였다. 진단받기 전 2∼5년 새 항생제 처방을 받은 사람은 염증성 장 질환 발생 위험이 24% 높았다. 최장 9년 전에 항생제를 복용했어도 염증성 장 질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후 1년 이내의 항생제 노출은 아동기 염증성 잘 질환 발생 위험을 51% 높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번 연구의 결론은 광범위 항생제를 많이 복용하면 할수록 염증성 장 질환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범위 항생제란 그람양성 간균ㆍ구균ㆍ그람음성균 모두에 대해 항균력을 강하게 보이는 항생제를 뜻한다. 강경남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친환경농업 가치를 알리는 열여덟번째 유기농데이!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