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맞춤형 특수식품 등 5대 유망 식품 선도 혁신적 산업생태계 조성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19/12/04 [17:15]
“맞춤형 특수식품·간편 식품 등 5대 식품 분야 집중 육성”

맞춤형 특수식품 등 5대 유망 식품 선도 혁신적 산업생태계 조성

“맞춤형 특수식품·간편 식품 등 5대 식품 분야 집중 육성”

식약일보 | 입력 : 2019/12/04 [17:15]

정부는 4일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28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거쳐 5대 유망 식품 집중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을 관계기관 합동으로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최근 식품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반영하여 성장 가능성이 큰 유망분야를 발굴·육성하여 혁신적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식품산업 전체의 활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그간 식품업계 간담회(11회)와 현장방문(3회) 등을 통해 청취한 현장 의견을 토대로,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여 공동으로 마련했다.

 

정부는 인구 구조, 소비 및 유통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고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5대 유망분야로, △메디푸드(Medi-Food), 고령친화식품, 대체식품, 펫푸드 등 맞춤형 특수식품, △기능성 식품, △간편식품, △친환경 식품, △수출 식품을 선정하고, 제도 정비 및 규제 개선, 연구개발 지원 등을 포함한 분야별 대책과 함께, 전문인력 양성, 민간 투자 확대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5대 분야의 국내산업 규모를 2018년 12조 4,400억 원에서 2022년 16조 9,600억 원, 2030년에는 24조 8,500억 원까지 확대하고, 2018년 5만 1,000개 수준의 일자리를 2022년에는 7만 4,700개, 2030년에는 11만 5,800개까지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번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비에서 다양성이 중시되면서,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개인의 특성과 기호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푸드테크를 기반으로 관련 산업의 기술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맞춤형 특수식품을 유망분야로 선정했다.

 

세계 메디푸드 시장은 연평균 6.9% 수준 성장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재가(在家)식 등 관련 식품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식품공전의 분류체계를 개편하고, 제품개발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질환 맞춤형 시장 형성을 촉진할 계획이다.

 

우선, 시장의 확장성을 반영하여 특수의료용도 식품을 독립된 식품군으로 상향하고, 식단제품에 질환명 표시가 가능하도록 ‘식사관리용 식단제품’ 유형을 신설하고 이를 위한 기준과 규격을 마련한다.

 

또, 재가식 메디푸드 제품 및 소재 개발을 지원하고, 식품‧영양성분 공공 DB를 확충하여 민간에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제품 출시를 유도한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20.3%로 전망되는 등 고령친화식품의 성장잠재력이 확대되고 있으나, 제도적 기반 미비, 소비자 인식 부족, 판로 애로 등으로 시장 활성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고령친화식품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산업 진흥법」 대상 제품에 식품을 추가하고, “고령 친화 우수식품” 지정, KS 인증제 시행 등으로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일본 사례 등을 참조하여, 공공급식 체계를 활용하여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고령친화식품을 제공하는 방안 등 공공부문을 통한 시장 활성화도 함께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대체식품(식물성 대체육 등)은 초기에는 채식주의자를 위한 틈새 상품으로 출발했으나, 건강․환경보호에 관한 관심 증대로 미국 등에서 대체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다.

 

대체식품 산업 육성을 위해, 대체식품 개발을 위한 R&D 지원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기업 투자를 촉진하도록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대상에 대체단백질 기술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전문가 협의체를 운영하여, 2022년까지 대체식품에 관한 표시․규격 등 관련 기준을 마련하고, 안전관리 절차 등 관리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 등으로 국내 펫푸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나, 유럽산 등 외산 비중이 ‘16년 기준 65.3%에 달하는 등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정부는 외산이 선점하고 있는 펫푸드 시장에서 국산 제품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소비자 인식 개선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우선, 2020년까지 양축용 사료와 분리하여 펫푸드의 독자적 원료·가공·표시기준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가칭)펫푸드 관리법” 제정을 추진한다.

 

국산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개선과 신뢰 제고를 위해 미국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민간품질 인증체계 구축하고, 유기인증 확대, 기능성 표시제 도입 검토 등 소비자 정보 제공도 강화할 예정이다.

 

세계 기능성 식품 시장이 연평균 5.9% 수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고, 국내 수요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흡수하고 중국 등 세계 시장을 겨냥한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산업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능성 표시제 도입, 맞춤형 건기식 판매 허용 등 규제 개선을 통해 시장 외연을 확대하고, 신사업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과학적으로 기능성이 증명될 경우 일반 식품도 해당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성 표시제를 도입하고, 안전성과 기능성이 입증된 의약품 원료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개선한다.

 

개인 맞춤형 제품 제공이 가능하도록 건강기능식품의 소분․혼합 포장을 허용하고, 기능 성분·제품 추천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한편, 대형할인점 등의 건기식 판매를 자유화하여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아울러, 기능성 원재료와 성분에 대한 DB 구축, 기능성 원료은행 및 기능성식품 제형센터를 통한 제품 개발 지원 등 원료 확충부터 제품화까지 신제품 개발을 위한 지원체계를 개선해 식품업체의 진입장벽을 낮출 계획이다.

 

또, 석사과정의 계약학과를 설치(‘20년 2개소)하여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수출용 건기식에 대한 국가 인증제를 도입하여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국내 간편식품 시장은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증가 등 영향으로 연평균 11.8%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고령자 등 소비층 확대, 새로운 제품 출시 등으로 앞으로도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이다.

 

정부는, 민간 주도의 성장동력이 증대·확산될 수 있도록, 연구지원과 함께, 유형 신설, 표시기준 등 제도 기반을 정비하고, 농어업인과 중소기업이 함께 발전하는 간편식 산업생태계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간편식 고품질화 기반기술인 급속 냉‧해동 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세제 지원을 검토하고, 프리미엄 상품 개발을 위한 R&D를 지원한다.

 

차세대 간편식 시장 형성을 위해 밀키트 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식품유형 신설하고, 즉석밥, 가공김 등 경쟁력이 있는 간편식 제품에 대한 글로벌 규격 마련도 함께 추진한다.

 

그리고, 농어업, 중소기업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생산자단체와 기업 간 계약재배 활성화, 지역 농특산물의 반가공․소재화 지원 등 국산 원료농산물 공급체계를 개선하고, 국가식품클러스터 등을 활용해 제품개발, 가공, 판로 등을 지원하여 지역 식품업체를 육성한다.

 

환경 문제 완화를 위해, 포장재․용기의 친환경 소재화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구체적 기술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환경에 관한 관심 증가, 윤리적 소비 확산에 따라 시장 성장이 예상되나, 그동안 농산물 위주의 제도 운용, 친환경 가공식품에 대한 낮은 인지도 등 영향으로 아직 시장 활성화는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친환경 인증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생산․유통․소비 활성화를 통해 시장 성장을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무농약원료 가공식품 인증을 시행하고, ‘유기’ 표시기준을 완화해 친환경 가공식품 시장을 확대한다.

 

친환경 식품 생산 집적화 단지 및 가공‧ 판매‧체험이 동시에 제공되는 ‘유기농산업 복합서비스단지’를 조성하여 생산 인프라를 확충하고,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 친환경 인증품의 우선 구매 요청 기관․단체 확대* 등 공공시장 소비를 확대를 통해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한편, 전략 상품을 발굴․육성하여 시장을 활성화한다.

 

식품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을 통한 외연 확대와 수요 창출이 필요하다고 보고, 정부는 우리 가공식품의 시장 다변화를 중점 추진하고, 기업들의 수출 애로 해소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기존의 일본, 중국, 미국 등 한정된 시장에서 벗어나, 성장잠재력이 큰 신 남방·신 북방 지역에 대한 시장개척을 지원하고, 할랄시장 및 UN 조달시장 등으로 신규 시장 진출을 확대한다.

 

신 남방 시장은 현지 유통환경을 고려하여 콜드체인과 물류센터 확충을 지원하고, 러시아·몽골 등 신 북방 시장은 맞춤형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유통망과 수출지원 조직을 확충하여 시장개척을 지원한다.

 

최대 할랄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할랄 상호 인증을 추진하고, 필요한 정보제공 및 유망제품* 개발 등 UN 조달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아울러, 한류를 활용한 현지 미디어 홍보 및 한류 문화축제(K-Con)와 K-Food Fair를 연계한 해외 홍보 행사(B2C)를 확대하고, 현지 온라인몰·오투오(O2O) 매장 등에 한국식품 전용관을 운영하는 등 유통망을 확충한다.

 

또한, 강화되고 있는 비관세장벽 해소를 위해 국가 간 협의체를 확대하고, 정보제공 강화 및 애로 해소 등 종합적 지원을 추진한다.

 

산업의 성장을 위해 인력, 창업 기반, 투자 등 인프라 구축도 강화한다.

 

구직자 연구개발 역량 강화 교육, 신규채용자 현장 교육 등 유형별 차별화된 교육을 통해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민·관·학 협업의 청년 푸드테크 창업교육, 국가식품클러스터 인프라를 활용한 청년 식품 창업 허브 구축 등을 통해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농식품 벤처펀드, 마이크로펀드 등 창업기업을 위한 펀드 조성을 확대한다.

 

「산업구조 고도화 지원프로그램」, 성장지원펀드 등을 활용하여, 그린바이오 중소기업 등의 혁신성장을 지원한다.

 

식품 분야 유망 중소기업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방송 광고 지원 대상에 포함하여 광고비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벤처 창업기업의 국내 판로 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및 온라인 전용 판매관을 운영하고, 소셜 기반 온라인 유통채널 확보 등을 추진한다.

 

HACCP 적용 확대(’18 : 85.2%→’22 : 87.5), 건강기능식품 GMP 단계적 의무화(’18 : 64.7% → ’20 : 100%)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식품원료 계열화 사업’ 도입 및 GAP 검사비․HACCP 컨설팅 지원 등 안전성․품질 확보를 지원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계획대로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기관별 역할을 분담하고, 농식품부, 해수부, 식약처가 협업하여 대책의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미흡한 부분은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식품산업은 성장 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이고, 정책효과가 농어업, 중소기업 등 전후방 연관산업 전반으로 파급되는 만큼, 이번 대책이 식품산업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히고, 식품산업에서도 민관 협업이 중요한 만큼 “유망분야에 대해 정부에서도 의지를 갖고 지원하겠지만, 식품기업 등 업계에서도 관심을 두고 기술혁신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강경남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