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문재인 케어, 대형병원 중증환자만 증가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19/07/12 [17:09]
대형병원 입원환자 증가, 중증환자 증가·경증환자 감소

문재인 케어, 대형병원 중증환자만 증가

대형병원 입원환자 증가, 중증환자 증가·경증환자 감소

식약일보 | 입력 : 2019/07/12 [17:09]

최근 언론에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인 문재인 케어 이후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관련 정춘숙 의원실에서 대형병원의 환자 쏠림현상이 정말 심각한지 분석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대형병원이라고 할 수 있는 상급종합병원의 입원환자 수(실화자)는 2015년 202만 명에서 2018년 204만 명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이를 중증(전문질병군)과 경증(단순질병군)으로 구분해서 분석해보면, 중증환자의 비율은 2015년 33.3%에서 2018년 44.9%로 증가 반면, 경증환자는 2015년 10.3%에서 2018년 8.9%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를 분석 결과, 2015년 6조 4,026억 원에서 2018년 8조 8,420억 원으로 증가했지만, 중증환자(전문질병군)의 총진료비 비율은 2015년 51.0%에서 2018년 58.8%로 증가 반면, 경증환자(단순질병군)의 총진료비 비율은 2015년 4.5%에서 2018년 4.1%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예전에 대형병원의 진료비가 비싸서 못 갔던 중증환자들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한 셈이다.

 

같은 기간 동안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중증은 증가하고, 경증은 감소하는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보면, 상급종합병원의 외래환자 수(실화자)는 2015년 3,881만 명에서 2018년 4,219만 명으로 증가했지만, 경증 외 환자의 비율은 2015년 91.1%에서 2018년 93.8%로 증가 반면, 경증환자는 2015년 8.9%에서 2018년 6.2%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급종합병원 외래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도, 2015년 3조 6,574억 원에서 2018년 5조 164억 원으로 증가했지만, 경증 외 환자의 총진료비 비율은 2015년 95.4%에서 2018년 96.8%로 증가 반면, 경증환자의 총진료비 비율은 2015년 4.6%에서 2018년 3.2%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매년 건강보험 보장성 정책이 강화되고 있어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집중현상은 그동안 지속해서 발생해왔다. 문재인 케어라고 하는 건강보험 정책도 보장성 강화정책이기에 이런 환자 쏠림 현상에서 제외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발표 이후로 어떤 분들이 대형병원을 이용하게 됐는지를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라고 밝혔다.

 

이번 분석 결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발표 이후 경증환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프다고 할 수 있는 중증환자들이 대형병원을 찾아서 진료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중증환자들이 대형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왜 문제인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발표 이전 대형병원의 진료비가 비싸서 중증환자들이 대형병원을 제대 못 갔던 것은 아닌지에 대한 분석 또한 필요하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분석자료뿐 아니라 다양한 분석자료를 토대로 의료전달체계의 개편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경남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