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화장품 무역흑자 첫 4조원 이상 달성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18/07/05 [16:40]
동남아·유럽 등 수출 지역 다변화 및 정부 수출지원 정책 결실

화장품 무역흑자 첫 4조원 이상 달성

동남아·유럽 등 수출 지역 다변화 및 정부 수출지원 정책 결실

식약일보 | 입력 : 2018/07/05 [16:40]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무역흑자가 4조 2,601억 원으로 사상 첫 4조원을 넘어섰으며, 전년(3조 5,955억 원) 대비 18.5%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규모는 13조 5,155억 원으로 ‘16년(13조 514억 원) 대비 3.6% 증가하여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무역흑자 증가세는 한류 바람에 힘입어 중국 중심에서 벗어나 동남아, 유럽 등으로 수출 지역이 다변화되고 있는 동시에 원아시아 화장품·뷰티포럼 개최(베트남, 인도네시아), 중소화장품 수출지원센터를 통한 정보 제공, 규제개선 등 정부의 수출 지원 정책이 결실을 맺은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 증가율(`17년)은 베트남(96.9%), 인도네시아(60.8%), 필리핀(37.6%), 프랑스(40.2%), 영국(92.0%), 러시아 연방(101.5%)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무역흑자 고속 성장세 유지 △동남아·유럽 등 수출시장 다변화 △생산실적 증가세 지속 △기능성화장품 꾸준한 성장 등이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12년 처음 흑자로 돌아선 후 6년 연속 무역흑자를 기록했으며, `15년 1조원, `16년 3조원을 각각 돌파한데 이어 올해는 4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49억 4,464만 달러(5조 5,900억 원)로 `16년(41억 7,842만 달러, 4조 8,491억 원)대비 18.3%(달러기준)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평균성장률도 40.1%로 고속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수출금액은 (`13년)12억8,341만 달러→(`14년)18억7만 달러→(`15년)25억8,780만 달러→(`16년)41억7,842만 달러→(`17년)49억4,464만 달러 등이다.

 

반면, 화장품 수입은 ’17년 11억 7,623만 달러(1조 3,297억 원)로 ‘16년 10억 8,020만 달러(1조 2,536억 원) 대비 8.9%(달러기준) 증가했다.

 

수입금액은 (`13년)9억 7,196만 달러→(`14년)10억 4,757만 달러→(`15년)10억 8,770만 달러→(`16년)10억8,020만 달러→(`17년)11억7,623만 달러 등이다.

 

특히, 사드 영향에도 중국 수출이 23.1% 증가하는 등 중화권으로 화장품 수출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증가율은 23.1%(1,569,712천 달러(‘16년)→ ,932,284천 달러(’17년))이다.

 

지난해 사드 이슈가 있었음에도 중국 수출은 19억 3,228만 달러(2조 1,844억 원)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홍콩(12억 2,245만 달러, 1조 3,820억 원), 미국(4억 4,547만 달러, 5,036억 원), 일본(2억 2,539만 달러, 2,548억 원) 등의 순이었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 가운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전년 대비 각각 96.8%, 60.8%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식약처가 국내 화장품 업체의 해외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14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원아시아 화장품·뷰티포럼’이 상당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수출 증가율은 96.9%(71,399천 달러(‘16년)→140,569천 달러(’17년))이며, 인도네시아 수출 증가율: 60.8%(15,007천 달러(‘16년)→24,134천 달러(’17년))이다.

 

유럽국가 가운데 독일(1,367만 달러) 및 폴란드(1,311만 달러)가 수출 상위 20위 내로 처음 진입하였으며, 최근 미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동지역 가운데 아랍에미리트연합(1,394만 달러)이 새로 진입했다.

 

프랑스 등 선진국에 수출된 실적은 8억 2,077만 달러로 `16년(6억 4,696만 달러) 대비 26.9% 증가한 것을 볼 때 우리나라 화장품이 해외에서 기술력과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억 2,460만 달러, 3,670억 원)였으며, 미국(2억 9,130만 달러, 3,293억), 일본(1억 8,232만 달러, 2,061 억 원), 영국(4,852만 달러, 548억), 이탈리아(4,636만 달러, 524억) 등의 순이었다.

 

상위 5개국 수입실적은 전체 75.9%이었으며, 전년 대비 영국과 이탈리아 순위가 바뀐 것 외에는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규모는 13조 5,155억 원으로 ‘16년(13조 514 억 원) 대비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7조 6,178억 원(56.36%)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 1,417억 원, 15.85%), 두발용(1조 5,298억 원, 11.32%), 인체 세정용(1조 2,601억 원, 9.32%) 등의 순이었으며, 최근 5년간 유형별 생산실적 순위가 같았다.

 

업체별로는 ‘(주)아모레퍼시픽’이 4조 898억 원(30.26%)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주)엘지생활건강’이 3조 9,672억 원(29.35%), ‘애경산업(주)’ 3,998억 원(2.96%), ‘(주)이니스프리’ 1,905억 원(1.41%), ‘(주)코리아나’가 1,724억 원(1.28%) 등의 순이었다.

 

특히, 페이스케이크 등 색조 화장용 제품류를 해외시장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해브앤비(주)와 ㈜씨티케이코스메틱스의 생산실적이 전년 대비 각각 63.4%, 18.2% 증가하여 상위 20위 내 업체로 새로이 진입했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 실적은 4조 8,558억 원으로 `16년(4조 4,439억 원) 대비 9.3% 증가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최근 5년간 성장률도 17.9%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연도)은 2조 5,638억 원(‘13년)→2조 9,744억 원(‘14년)→3조 8,559억 원(‘15년)→4조 4,439억 원(’16년)→4조 8,558억 원(’17년) 등이다.

 

지난해 미백·주름·자외선차단 기능 가운데 1종류 기능을 나타내는 제품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2종류 이상 복합기능을 가진 제품의 생산실적은 2조 3,565억 원으로 ‘16년(2조 2,326억 원) 대비 5.5% 증가하여 한 개 제품으로 여러 기능을 기대하는 최근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7년 5월부터 기능성화장품 범위 확대(3종→10종)로 의약외품에서 화장품으로 전환·관리되는 제품의 생산실적은 5,499억 원으로 전체 화장품 생산실적에서 약 4%를 차지했다.

 

기능성화장품 범위확대는 기존 3종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에서 7종 추가됐다. 모발색상변화(탈염·탈색 포함), 제모제, 탈모증산 완화에 도움, 여드름성 피부의 완화에 도움, 아토피성 피부로 인한 건조함 등 완화에 도움, 튼살로 인한 붉은 선을 엷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류영진 식약처장은 “우리나라 화장품의 우수한 기술력과 높은 품질이 무역흑자 성장세가 지속되는 등 해외에서 사랑받는 요인”이라며, “앞으로도 ‘국제화장품규제당국자협의체(ICCR)’ 정회원 가입 추진 등 국제 신인도 강화를 통해 우리나라 화장품이 전 세계로 뻗어나가 청년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제화장품규제당국자협의체(ICCR)는 2007년 미국, 일본, 유럽연합, 캐나다의 화장품 규제 당국이 모여 만든 협의체로 화장품 분야 국제적 조화, 국가 간 장벽 최소화 및 소비자 안전보호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기구이다. 강경남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