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식약일보 KFDN 식품과 의약 뉴스

중년기 비만 치매발생 위험 2배

식약일보 | 기사입력 2018/03/29 [16:53]
지방세포에서 나오는 아디포카인, 치매와 연관 가능성

중년기 비만 치매발생 위험 2배

지방세포에서 나오는 아디포카인, 치매와 연관 가능성

식약일보 | 입력 : 2018/03/29 [16:53]

중년기 비만은 치매 발생 위험을 2배 가까이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노인의 비만은 치매 발생과 큰 연관이 없었다.

 

2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북대병원 가정의학과 고혜진 교수팀이 전 세계에서 2005∼2015년 새 발표된 비만과 치매 관련 연구논문 12편을 메타 분석(meta analysis, 수년간에 걸쳐 축적된 기존 연구논문을 분석하는 방법)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12편의 논문에서 조사된 인원은 200만 명이 넘는다. 이 연구결과(비만과 치매 발생의 위험: 전향적 코호트 연구의 메타 분석)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분석결과 중년 이후의 비만은 치매의 위험도를 1.5배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년기 비만과 치매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 연구 9편을 통해 중년기 비만은 치매 위험을 1.9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비만과 치매의 관계를 추적한 논문 3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 노인의 비만은 치매 위험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중년의 경우 비만 자체가 심혈관 질환ㆍ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이들이 모두 치매의 위험 요인”이며 “최근엔 대사 증후군과 인지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대사성-인지 기능 장애 증후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인의 비만과 치매의 관련성에 대해선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노인의 비만은 치매의 위험 요인이 아니며 오히려 체질량지수(BMI, 비만의 척도)가 25 이상이면 치매의 예방 인자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노년기의 BMI 감소는 치매의 예고탄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70세 이상에서 과체중일수록 치매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며 이는 여성에게 더 두드러진다는 정반대의 연구결과도 나왔다.

 

한편 비만은 뇌 조직과 기능을 변화시켜 인지 기능 저하, 치매의 유병률을 높이는 위험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염증성 물질)이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강경남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